본문 바로가기
게임

리니지m 신성검사 스텟추천 힘 or 인트?!!

by 이동 2020. 1. 30.

 

리니지m 신성검사 스텟 추천트리!!!

안녕하세요, jumin입니다.

플레이스토어 매출 1위 , 2위를 다투는 리니지2m 그리고 리니지m이라는 모바일 mmorpg게임입니다.

어릴적부터 pc버전의 리니지를 좋아하셨던분들 그리고 우리나라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리니지라는 게임에대해서 이야기들어보셨을것입니다.

많은 게임중독자와 폐인을 양상하면서 결국엔 모바일 버전의 게임으로 출시되면서 엄청난 과금을 유도하는 시스템으로 많은 비판도 받고 있지만, 이만한 게임이 없다는데는 다들 동의하고 계시면서 힘들게 게임을 즐기고 계시고 계실텐데요~

저도 그 많은 리니지m 게임유저중 한사람으로 현재는 무과금으로 그냥 그냥 자동사냥위주로 육성중입니다.

얼마전 새로운 신규클래스인 신성검사라는 직업이 리니지m에서 새롭게 선보이면서 많은 유저들이 클래스체인지를 통해서 직업변경을 신청했는데요~ 새로운 캐릭터들은 항상 스킬트리스텟트리에서 어떻게 키워나가야하는지 방향성을 찾곤하는데요~

어느정도 신성검사클래스의 정보가 나왔고 , 현재는 스텟트리가 거의 정형화 되다 싶이 한상황이라 새롭게 캐릭을 육성하는분들을 위해 한번 추천 스텟을 올려봅니다.

 

[ 신성검사 ]

리니지m 신성검사 출시전 암흑기사라는 컨셉의 신규캐릭터가 새로 나오면서 한번더 부흥을 이끌었다면, 현재는 마법스킬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신성검사가 나오면서 많은 유저들이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마법사의 다양한 마법을 기사가 사용한다는 점에서 우선 상위 사냥터를 입성하는 레벨이 낮아졌으며, 그에따른 각종 마법으로 사냥과 pvp에서 상위에 랭커하고 있는 클래스입니다.

 

[ 힘 vs 마법 ]

신성검사는 캐릭터 생성창에서 보시면 약간의 힌트가 있는데요~ 바로 근거리대미지와 마법대미지의 차이입니다.

마법을 사용하는 기사이기때문에 마법 즉 , 인트int 와 위즈wiz의 영향을 많이 받는캐릭터인것은 확실합니다. 마법의 대미지와 마법성공률로 인해 많은 변수의 상황이 발생을 하고요~

그에 따른 대미지로 인해 먹고 사는 직업인데요~

여기서 한번더 주목할점은 바로 근거리 대미지가 마법 대미지보다 약간더 우세하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힘을 찍어야할까요? 마법을 찍어야 할까요???

 

[ 신성검사 스킬타입 ]

신성검사의 주 사용되는 스킬들을 하나같이 보자면, 마법형으로 특히 , int의 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처음 키우는 유저분들은 힘을 찍지말고 인트를 찍어야 할까요?? 스텟트리에는 정석은 없지만, 많은 추천트리는 현재 있습니다.

근뎀과 근명이 어느정도 일정부분 , 즉 많은 컬렉션으로 인해 100이상이 된다면 그때부터 인트와 위즈에 투자를 해도 되지만, 일반 유저분들은 처음에는 어느정도의 근거리 대미지가 필요하기때문에 힘을 찍고 아주후반부에 어느정도 캐릭터가 상당한 힘을 갖게되면서부터 인트와 위즈에 투자하는것이 현명하다고 할수있겠습니다.

현재도 많은 리니지m의 많은 유튜버들이 힘을 찍고 사냥과 전투를 즐기고 있으며, 어느정도 된 사람들만 인트,위즈를 찍고 있습니다. 

저도 현재 무과금으로 육성하면서 힘을 투자하고 있습니다만, 언젠가는 제대로된 마법스킬을 사용하려면 적당한 포지션은 필수일듯합니다. 

 

 

 

[ 리니지m 영웅-전설도전!! 최단기간 리세마라방법은 ?????? ]

 

리니지m 리세마라 최단기간 성공방법! 무과금으로 가능!

무소과금으로 돈버는법 강추!! [ 리니지m 영웅리세마라 최단기간 성공법! ] 리니지m2가 출시되었지만, 잠깐 주춤하더니 다시한번 리니지m으로 속속들히 복귀하면서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모바일 게임입니다. 그..

blueminf3.tistory.com

[ 리니지m 이벤트 꼭 참여하자 !!! 무과금이라면 필수 !! ]

 

리니지m 설날 신년 이벤트 !?

리니지m 신년 이벤트!!!! 안녕하세요, jumin입니다. 어느분들에게는 고인물게임이라고 할수있지만, 아직도 많은 유저들이 재미있게 즐기고 있는 게임중 하나인 리니지m입니다. 리니지m은 출시되면서 많은 기록을..

blueminf3.tistory.com